-색면과 선의 율동
권은희의 작업은 차가운 빙판 위를 지나간 날선 스케이트 자국을 연상시킨다. 파란 화면 가득 들어찬 얽힌 선들. 작품 안에서 보여 지는 부분은 파란 색면에 드러난 선들이 전부다. 그러면 이제 작가 권은희가 보여준 단서를 따라 드러나지 않은 작가의 은밀한 내면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물과 빙판과 달은 파란 색으로 그리고 차가움이라는 가치로 연결되어 있다. 권은희의 작업은 차가움 위에서 펼쳐지는 생명을 위한 드라마이다. 차가움의 바탕위에 수없이 많은 선들의 교차된다. 화면위의 선들은 시간의 선후에 따라 이미 지나간 선들을 덮기도 하고 새로운 길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선들의 교차는 시간의 흐름을 드러낸다. 무엇인가 지나간 흔적, 무엇인가 한때는 열정적 움직임이 있었기에 그 공간은 의미 있는 공간으로 환원된다. 움직임의 반대편엔 멈춤이 있다. 생명의 순환에서 멈춤이란 곧 죽음을 의미한다. 특히 물속에서 혹은 빙판위에서의 멈춤은 고요와 적멸로 들어가는 죽음의 공간을 상징한다. 그러기에 끝없는 움직임은 생명의 율동을 만들어내고 율동은 살아있음을 증명한다. 율동이란 곧 춤이다. 기쁨의 춤이든 슬픔의 춤이든 환희에 겨워 깊은 무의식에 의해 표출되는 움직이든 혹은 애수에 가득한 몸짓의 표현이든 율동은 춤이 되어 나타난다. 그 율동을 의미 있는 것으로 읽어내는 가치창조는 수용자의 몫이다. 우리는 그의 화면에 남겨진 선들을 통해 어떠한 의미들을 읽어낼 수 있을 것인가?
권은희는 우리가 통상 사용하는 직접적 이미지를 통한 소통의 방법론에 의문을 제기한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미지가 사용되는 순간 우리는 상상력을 상실한다. 나아가 상상력의 상실은 표현이 주는 의미의 깊이를 제약한다. 누군가 우리가 익숙히 알고 있는 달 표면 위에서 춤을 추고 있는 구체적 형상이 드러난다면 우리의 사고는 그 누군가에 또는 이미 알고 있는 어떠한 달 표면에 갇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의 제약을 벗어나기 위해 작가는 이미지의 해체를 선택했다. 그의 화폭에는 구체적 이미지가 드러나지 않으며 오로지 은유적 상징만이 화면을 지배한다. 그러나 그 은유적 상징조차 불명확하다. 그의 화폭에서 차가운 빙판 위를 지나간 날선 스케이트 자국을 연상하였다 하더라도 그것은 단지 개인적 체험에 의한 유추에 불과할 뿐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체적 상황에 대한 연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누군가는 해가 지는 어스름 속에서 정원을 산책하는 이미지를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해가 지고 모든 것이 불확실하게 보이는 푸른 어둠은 모든 것을 모호하게 만든다. 여기에서 나뭇잎이나 넝쿨이 우거진 숲속을 연상한다고 한들 전혀 어색한 일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불명확성이 우리의 사유를 자유롭게 그리고 우리의 의식을 확장 시켜 준다는 점이다. 우리는 그의 화폭에서 찾아낸 리듬을 지닌 단순한 선과 그 선에서 유추한 은유적 상징으로 우리의 상상력을 더하여 우리의 체험 안에서 그리고 체험의 개연성 속에서 풍부한 의미들을 찾아낼 수 있다. 그의 선들이 주는 탄성과 속도감은 수없이 많은 의미의 재조합을 만들어낸다. 권은희는 이처럼 구체적 이미지들을 해체함으로써 보다 더 풍부한 의미들을 조합할 수 있는 장을 펼치는 것이다.
그 표현방식은 일종의 자동기술법에 기초한다. 마치 꿈과 무의식의 내면세계를 일정한 선율의 리듬에 실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기법이다. 자동기술법이란 널리 알려져 있는 것처럼 인간의 원초적인 욕망이나 욕구가 논리적인 통제를 받기 이전의 상태에서 꿈틀거리고 있는 무의식의 세계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권은희의 작업 역시 ‘의식의 흐름’과 ‘내적 독백’을 기초로 꿈과 현실, 지상과 천상, 의식과 무의식, 현상과 본질의 대립과 통일을 지향한다. 이처럼 권은희는 무의식적 이미지와 비논리적 몽타주가 반복을 통해 자신만의 형상언어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작가가 던져 놓은 이미지의 단서를 쫒아 자신의 체험 세계로 여행을 떠날 수 있게 된다. 그 세계를 작가는 “내가 진정 머무르고 싶은 그곳”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작품은 그곳으로 가는 통로가 된다. 작가가 말하는 그곳은 어떤 곳인가? 그는 그곳을 별이 되고 달이 되는 곳이라고 설명한다. 별과 달은 곧 꿈이다. 언제나 저 편인 곳. 그곳은 실재하지 않는 곳이다.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완전한 자유가 펼쳐지는 의식의 세계이다.
바로 그 자유의 추구가 작가 권은희의 주제이다.
우리는 그의 작품을 통하여 어떠한 자유와 마주하게 될 것인가?
이 역시 수용자의 몫이 될 것이다.
김백균/미학,중앙대교수